반응형
VCTF의 공식명칭은 300/500V 이하 유연성 비닐 케이블(코드)
KS C IEC 60227-5에 의하여 코드선으로 분류됨
KESC 530.2.7
1.코드는 조명용 전원코드 및 이동전선으로만 사용할 수 있으며, 고정배선으로 사용할 수 없다.
다만, 건조한 곳에 시설하고 또한 내부를 건조한 상태로 사용하는 진열장 등의 내부에 배선할 경우는 고정배선으로 사용할 수 있다.
2.코드는 400V이하의 전로에만 사용할 수 있다.
3.조명용 전원코드 또는 이동전선은 단면적 0.75㎟이상의 코드 또는 캡타이어 케이블을 용도에 적합하게 표 530-6에 따라 선정한다.
4. 조명용 전원코드를 비나 이슬에 맞지 않도록 시설하고 사람이 쉽게 접촉되지 않도록 시설한 경우는 단면적이 0.75㎟이상인450/750V 내열성 에틸렌이세테이트 고무절연전선을 사용할 수 있다. 이 경우 전구 수구의 리드 인출부의 전선간격이 10㎜ 이상인 전구 소켓을 사용하는 것은 0.75㎟이상인 450/750V 일반용 단심 비닐절연전선을 사용할 수 있다.
5. 옥내에서 조명용 전원코드 또는 이동전선을 습기가 많은 장소 또는 수분이 있는 장소에 시설한 경우는 고무코드(사용전압이 400V이하인 경우에 한함) 또는 0.6/1 kV EP 고무 절연 클로프렌캡타이어케이블로서 단면적이 0.75㎟이상인 것이어야 한다.
반응형
'전기관련법령,법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분기회로용 과전류차단기의 시설기준(KEC 212.6.5) (0) | 2023.07.08 |
---|---|
수배전반 내 케이블 사이의 이격거리 (0) | 2023.07.04 |
KESC 380.5.1 합성수지관 공사(의 시설조건) (1) | 2023.05.19 |
지락차단장치 예외규정의 기술원 감시소에 '경보하는 장치'의 정의에 대한 질의 (0) | 2023.05.19 |
주택용차단기의 시설장소(23.1.1부터적용) (0) | 2023.05.11 |